본문 바로가기
뉴스

헌재 탄핵심판 전날, 박찬운 교수의 심경 고백

by 1분.뉴스 2025. 4. 4.
반응형

 

“12·3 내란 사태 이후 단 하루도 편히 자본 적이 없습니다. 하지만 내일, 드디어 인간으로서의 삶이 시작될 겁니다.”

안녕하세요, 오늘은 한 법학자의 심경 고백을 소개하려고 합니다. 윤석열 대통령 탄핵심판 선고를 하루 앞둔 4월 3일, 박찬운 한양대 로스쿨 교수는 자신의 페이스북에 올린 글을 통해 지난 123일간 이어진 내란 사태와 그로 인한 국민적 고통, 그리고 ‘국민으로서의 삶’을 지켜온 여정을 되짚으며 강한 메시지를 남겼습니다. 법조인이자 한 시민으로서 그가 말하는 ‘인간으로서의 삶’이란 과연 무엇일까요?

밤잠을 설친 123일

12·3 내란 사태 이후 박찬운 교수는 단 하루도 마음 편히 잠든 적이 없었다고 털어놓습니다. 헌법을 가슴에 품고 살아온 법학자로서, 그는 이 사태를 단순한 정치적 갈등이 아닌, 국가 질서 자체를 뒤흔드는 심각한 내란으로 인식했죠. 그 혼란의 시간 동안 그는 불면증에 시달렸고, 마음은 늘 긴장 속에 놓여 있었다고 합니다.

‘국민으로서의 삶’을 선택한 이유

박 교수는 단지 법률가로서가 아니라, 한 명의 시민으로서 행동했다고 강조합니다. 컴퓨터 앞에 앉아 글을 쓰고, 시민들과 거리에서 함께 외쳤던 시간들은 단순한 저항을 넘어서 공동체의 안녕을 위한 헌신이었죠.

행동 의미
페이스북 글 연재 법적 당위성에 대한 설득
촛불 집회 참여 공동체를 위한 실천
헌재 판결 촉구 정의 실현을 위한 요청

탄핵을 외친 시민들의 목소리

박 교수는 “아스팔트 위에서 밤샘도 불사하며 외친 시민들의 외침은 단순한 분노가 아닌 공동체를 지키려는 절박한 의지였다”고 말합니다. 그들의 행동은 국가를 바로 세우겠다는 결연한 다짐의 표현이기도 했습니다.

  • 헌법 질서를 지키겠다는 시민의식
  • 민주주의 회복을 위한 거리의 외침
  • 불이익을 감수한 용기 있는 발언

8대 0 파면, 상식은 돌아올까?

박 교수는 "상식이 가출한 세상"이라며 여전히 일말의 불안감을 지우지 못한다고 말합니다. 그는 8:0 전원일치 파면이라는 명백한 결론을 예상하면서도, 예측 불허의 판결이 나올까 걱정된다고 밝혔습니다. 상식이 통하지 않는 시대, 그 속에서도 마지막 희망의 끈을 놓지 않겠다는 다짐이었습니다.

내일, 인간으로 돌아가는 날

“나는 그 시각부터 내 본능이 가는 대로의 삶을 살 것이다.” 박찬운 교수는 4월 4일 정오, 헌재의 판결과 동시에 ‘인간으로서의 삶’이 다시 시작되기를 바라고 있습니다. 헌재의 판결이 단순히 정치적 결정을 넘어서 국민들에게 잃었던 일상을 돌려주는 시작점이 되길 희망하고 있습니다.

희망하는 삶 의미
거리에서 만난 시민과의 축배 공동체 회복의 상징
불면증 없는 평온한 밤 심리적 해방
헌법 수호자로서의 자긍심 회복 국가에 대한 믿음 회복

거리에서 만날 희망들

박 교수는 글의 마지막에서 “나는 내일 저녁 거리에서 인간으로서의 삶을 살아가는 사람들을 만나고 싶다”고 말합니다. 그리고 말없이 축배를 들며, 우리가 지켜낸 대한민국이 앞으로도 나의 보금자리이길 믿는다고 덧붙였습니다.

  • 평범한 일상으로의 복귀
  • 헌법 가치에 대한 자부심
  • 공동체와 나눈 소중한 기억
Q 박찬운 교수는 왜 헌재 판결을 기다렸나요?

윤석열 대통령의 파면이 대한민국 헌정 질서를 회복하는 첫걸음이라고 믿었기 때문입니다.

Q ‘국민으로서의 삶’이란 무엇을 의미하나요?

법의 정신을 지키기 위해 개인의 안위를 포기하고 행동한 삶의 태도를 의미합니다.

Q 헌법재판소 판결에 대해 그는 어떤 예측을 했나요?

8대 0 전원일치 파면 선고를 기대하면서도, 상식이 통하지 않는 현실에 대한 불안감을 드러냈습니다.

Q ‘인간으로서의 삶’은 어떤 의미일까요?

불안과 공포에서 벗어나 자유롭게 숨 쉬며 일상을 살아갈 수 있는 상태를 뜻합니다.

Q 박 교수는 앞으로 어떤 삶을 꿈꾸고 있나요?

거리에서 시민들과 만나 축배를 나누며, 다시 평범한 일상을 살아가길 희망합니다.

Q 왜 이런 기록이 중요한가요?

개인의 고백은 시대정신을 반영하며, 민주주의 회복 과정에서 중요한 증언이 됩니다.

 

때론 한 사람의 목소리가 시대의 울림이 되기도 하죠.

박찬운 교수의 고백은 단지 개인의 고통이 아닌, 수많은 국민들이 공유했던 분노와 희망, 그리고 기다림의 기록이었습니다.

오늘 정오, 헌법재판소의 판결이 어떤 결론을 내리든, 우리는 이 시간을 함께 지나온 증인입니다.

이제는 우리도 각자의 방식으로 ‘인간으로서의 삶’을 되찾아야 할 때입니다.

평범하고 소중한 일상으로, 다 함께 돌아가 봅시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