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국제 금값·은값 급등, 원인은?
2. 유가·천연가스는 소폭 상승, 구리는 하락
3. 달러 약세 & 증시 하락, 자산 시장 지각변동
4. Q&A
국제 금값·은값 급등, 원인은?
2025년 3월 27일(현지시간), 뉴욕시장에서 국제 금값이 사상 최고치에 근접하며 t온스당 3098.70달러까지 치솟았습니다. 이는 1.52% 상승한 수치로, 트로이온스당 3100달러 돌파를 눈앞에 둔 상황입니다.
같은 시각, 국제 은값 역시 t온스당 35.37달러로 3.34% 상승하며 시장 불확실성 속 안전자산으로서의 위력을 보여주었습니다.
이는 달러 약세와 트럼프 전 대통령의 자동차 관세 25% 부과 가능성에 따른 시장 불확실성 확대가 주요 원인으로 분석됩니다.
유가·천연가스는 소폭 상승, 구리는 하락
에너지 상품 시장에서도 달러 약세의 영향이 뚜렷하게 나타났습니다.
• 서부텍사스산원유(WTI) 5월물: 배럴당 69.77달러 (▲0.17%)
• 북해산 브렌트유 5월물: 배럴당 73.90달러 (▲0.15%)
• 천연가스 4월물: MMBtu당 3.95달러 (▲2.31%)
특히 천연가스는 상승률이 두드러지며 급등세를 기록했습니다. 반면, 구리 가격은 파운드당 512.05달러로 2.34% 하락하며 희비가 엇갈렸습니다.
달러 약세 & 증시 하락, 자산 시장 지각변동
ICE US 달러인덱스는 104.30으로 0.23% 하락, 달러가치가 약세를 보이자 달러로 거래되는 원자재 상품 가격은 오름세를 보였습니다.
미국 10년물 국채금리는 4.367%로 전일 대비 소폭 상승했으며, 이는 시장의 긴장감을 반영한 결과로 풀이됩니다.
미국증시도 하락세로 마감하며 위험자산 선호심리는 위축된 양상입니다. • 다우존스: -0.37%
• 나스닥: -0.53%
• S&P500: -0.33%
이에 따라 투자자들은 금·은 같은 안전자산으로 자금을 이동시키는 흐름을 보이고 있습니다.
Q&A
A1: 트럼프의 관세 이슈로 시장 불확실성이 커지고, 달러가치가 하락하면서 금과 은 등 안전자산 수요가 증가했기 때문입니다.
A2: 대부분의 원자재가 달러로 거래되기 때문에, 달러가치가 하락하면 상품가격은 상대적으로 상승하는 경향이 있습니다.
A3: 글로벌 정치·경제 불확실성이 이어진다면 금값은 추가 상승할 가능성이 있습니다. 트로이온스당 3100달러 돌파 여부가 주목됩니다.
'재테크와 투자' 카테고리의 다른 글
국내증권사X, 메타트레이더5를 사용해야 하는 이유 (1) | 2025.03.28 |
---|---|
해외선물 로스컷의 개념과 강제청산의 차이 (0) | 2025.03.28 |
RSI 활용법, 매수·매도 타이밍 완벽 분석 (1) | 2025.03.27 |
볼린저 밴드를 활용한 주식 매매법 (1) | 2025.03.27 |
차트로 본 강세장과 약세장 신호 구별법 (0) | 2025.03.27 |